대회정보
장애인유도인들의 체육 · 복지 증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
경기방법 및 설정
유도(JUDO)
한국의 유도는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광복 후 조선유도연맹이 결성되고, 1950년 대한유도회로 재결성되며 발전하였다. 한국의 장애인유도는 1988년 서울 장애인올림픽대회 즈음하여 장애인유도협회가 설립되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.
현재 장애인유도는 시각장애, 청각장애, 지적장애 각 유형별로 나뉘어 있으며, 최근까지 가장 활성화 되어 있는 장애유형은 시각장애인 유도다.
용기구 및 경기장 설명
1. 경기장
2. 매트
3. 유도복
경기방법
1. 시각장애유도 경기 진행
시각장애를 가진 선수의 경우 주심의 인도 하에 경기장에 들어가며 경기장 중앙에서 약 1.5m의 간격을 둔 채 상대방과 마주보고 선다. 주심의 인도 하에 선수는 기본자세에서 상대방의 소매깃과 가슴깃을 잡고 주심의 시작(Hajime) 명령이 떨어지면 시합이 개시된다. 경기 중에 주심은 경기를 잠시 중단시키기 위하여 그쳐(Matta)를 명할 수 있으며 다시 진행시키기 위해 주심의 인도 하에 선수들을 시작위치에 서게 한 후 경기를 재개할 수 있다.
2. 경기 규칙
장애인유도의 경기규칙은 IBSA유도연맹과 국제유도연맹(I.J.F)의 규정을 최대한 준수한다. 경기시간은 남, 여 각각 4분이다. 모든 경기는 체급별로 치러지며 선수가 신청한 체급에서만 참가할 수 있다. 대회의 운영은 참가 인원에 따라 토너먼트나 리그로 진행된다.
3. 시각장애인 유도의 별도 규칙
시각장애인 유도 경기진행은 국제유도연맹이 규정한 장애인유도의 변형규칙 이외에도 중복장애(시각 및 청각)일 경우를 위한 별도의 경기 규칙이 있다.
별도규칙 | |
그쳐 | 주심이 선수의 등 또는 어깨를 두 번 친다. |
조르기 | 주심은 선수의 어깨나 어깨깃을 가볍게 두 번 치고 득점을 선언한다. |
관절꺾기 | 주심은 선수의 어깨나 어깨깃을 가볍게 두 번 두드리고 나서 득점을 선언한다. |
누르기 | 주심은 선수의 발을 한 번 꽉 쥔다. |
그대로 | 주심은 한 손으로 선수의 머리를 가볍게 두드린다. |
계속 | 주심이 선수의 머리를 가볍게 두드린다. |
공격 | 주심은 선수의 손을 들어서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한 다음 손바닥에다가 원형의 모양을 그린다. |
반칙 | 주심은 선수의 손등에 지도일 경우에는 손가락 하나(검지), 주의일 경우 손가락 2개(검지와 중지),그리고 경고일 때는 손가락 3개(검지, 중지, 약지)를 이용해 두드려 준다. |
득점 | 심판은 W, I 선언하면서 ao(파란도복), shiro(흰도복)라 호칭하면서 득점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. 주심은 득점한 선수의 손바닥에 W, I 를 표시하여 선수의 가슴에 가져간다. 반대로 득점을 뺏긴 경우는 손바닥에 W, I 표시를 하여 상대방을 향하게 한다. |
무효 | 주심은 선수의 손바닥에 X표를 그려 준다. |
손바닥 신호 | ||
벌칙 | S | 지도(SHIDO) |
H | 반칙패(Hansoku-make) | |
득점 | W | 절반(WAZA ARI) |
I | 한판(IPPON) |
4. 점수제도
유도경기의 점수 제도는 한판 → 절반 순이며,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골든스코어(승패가 날 때까지) 경기를 실시한다.
판정 | 세부내용 | 판정사진 |
한판 | 한 선수가 상대선수를 상당한 힘과 속도로 자신이 컨트롤하여 등 전체가 닿도록 메쳤을 때 | |
‘누르기’가 선언되고부터 20초 동안 상대가 풀려나오지 못하도록 제압하고 있을 때 | ||
한 선수가 누르기 또는 조르기, 꺾기 기술로 제압하고 있는 동안, 상대 선수가 손 또는 발로 두 번 이상 자리나 몸을 쳤을 때, 혹은 '항복'이라고 말했을 때 | ||
꺾기 또는 조르기 기술이 성공하여 그 효력이 충분히 발휘되었을 때 | ||
상대방이 반칙패 당했을 때 | ||
절반 | 한 선수가 능숙한 기술로 상대를 메쳤으나‘한판’에 필요한 기술 4요소(세찬기세, 탄력, 속도, 통제력)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할 때 | |
누르기에서 15초 이상 20초 미만 동안 누르고 있을 때 |
5. 경기기술
기술 | 세부기술 |
메치기 기술(NAGE-WAZA) | 손기술(TE-WAZA) |
허리기술(KOSHI-WAZA) | |
바로 누우며 메치기기술(MA-SUTEMI-WAZA) | |
모로 누우며 메치기기술(YOKO-SUTEMI-WAZA) | |
발기술(ASHI-WAZA) | |
굳히기 기술(KATAME-WAZA) | 누르기(OSAEKOMI-WAZA) |
조르기(SHIME-WAZA) | |
꺾기(KANSETSU-WAZA) |
정보
등급분류
시각장애인유도는 전 체급에 걸쳐 복지카드를 소지하고 스포츠등급인 B1 등급, B2 등급, B3 등급이 참가할 수 있다.
등급분류 | 비고 | |
B1 | 빛을 전혀 감지할 수 없으며, 빛을 감지한다 해도 어느 방향 어떤 거리에서도 손의 형태를 인지할 수 없는 경우 | 모든 분류는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함. 즉 렌즈를 사용하는 선수는 실제 사용 유무와 상관없이 반드시 착용한 채 등급분류를 받아야 함. |
B2 | 손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에서부터 시력이 2/60 그리고 / 또는 시야가 5도 이하인 경우 | |
B3 | 시력이 2/60인 경우부터 시력이 6/60까지 그리고 / 또는 시야가 5도 이상 20도 이하인 경우 |
※ 경기 진행 시 심판 및 지도자들의 회의에 따라 약간의 규정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다.